기술도 지방분권…부산시 조선·ICT 국비 300억 확보
사무국 2020.04.29 811

- 지역 혁신사업 직접 기획·실행

- 조선 플랫폼·스마트팩토리 구축

산업 기술 지원에도 ‘지방분권’이 도입된다. 지금까지 산업통상자원부나 중소기업벤처부 등 중앙 부처가 국비 규모나 지원 종목을 지정하면서 지자체는 기술 혁신 정책을 추진하는 데 있어 중앙 정부의 입김에 휩쓸렸다. 이 때문에 정부 지원이 “지역 산업의 실정을 제대로 모른 채 일방통행식으로 진행된다”는 불만도 터져 나왔다.

내년에는 지자체가 해당 지역의 혁신전략 사업을 직접 기획하고 실행하는 ‘지역혁신성장계획’이 처음 시행된다. 부산에서는 조선기자재와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첨단 소재 개발에 3년 동안 매년 100억 원씩 총 300억 원의 국비가 투입된다.

부산시와 부산테크노파크(TP)는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주관 지역혁신성장계획 신규사업 평가 결과, 전국 14개 광역 지자체 중 최고 규모인 국비 300억 원을 확보했다고 13일 밝혔다. 시는 지난해 12월부터 TP와 부산산업과학혁신원 등이 TF를 꾸려 수차례 전문가 회의를 통해 2개 사업을 확정해 신청했는데 모두 통과됐다.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 14개 자치단체에서 54개 사업이 신청됐고, 이 중 31개가 최종 선정됐다.

국비 지원으로 부산에서 특화되는 사업은 ‘조선해양 경량·고성능 소재 혁신 플랫폼 구축(조선소재플랫폼)’과 ‘ICT기반 커넥티드 융합기계부품 산업 지원(ICT부품지원)’ 2개 분야다. 조선소재플랫폼 사업은 해양첨단소재 육성을 위한 플랫폼 구축이 핵심이다. 부산은 국내 조선기자재 산업의 80%를 담당하지만 부품 기업은 조선기자재 분야 소재를 개발하고도 이를 테스트할 곳을 찾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부산 강서구 ‘해양융복합소재센터’ 내 ▷상용화를 위한 시제품 테스트 ▷특허·인증 획득 ▷글로벌 마케팅 지원 등과 관련한 시스템을 구축한다. 시 관계자는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에 따라 조선 산업 분야 신소재 적용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며 “친환경 로프 섬유나 탄성 선체 소재 등이 상용화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ICT부품 지원 사업은 스마트팩토리에 쓰일 부품을 개발하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스마트팩토리 구축이 확산되고 있지만 여기에 쓰일 핵심 부품은 개발되지 못한 상태다. 이에 시는 국비 150억 원과 시비 64억 원을 투입, ICT와 인공지능 관련 전문가를 양성해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필요한 융합기계부품을 생산하는 사업을 시행한다. 부산 중소기업의 데이터베이스(DB)와 인공지능기술 등을 접목해 신제품 개발하고 실제 사업화를 지원한다.

지역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기술 혁신 사업을 해당 지자체가 선정해 발전 전략을 마련했다는 데 의미가 크다. 시 첨단소재산업과 관계자는 “조선소재플랫폼 사업의 혜택을 볼 수 있는 기업은 40여 곳이다. ICT부품 지원은 기계부품을 생산하는 4000여 개 기업이 의욕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며 “관련 분야의 전후방 기업이 서로 협력하며 R&D(연구·개발)역량을 강화해 매출 증대도 꾀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원문기사 바로보기->

바이스트로닉, 안전기원제를 시작으로 인천 송도 신 사옥 건축 착공
부산시,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 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