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산=뉴시스] 허상천 기자 =부산시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2021년도 스마트 특성화 기반구축사업 중 수리조선 분야 지원사업인 ‘스마트 수리조선산업 지원기반 구축사업’에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2020.05.06. (그래픽 = 부산시 제공) photo@newsis.com | [부산=뉴시스] 허상천 기자 = 부산시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2021년도 스마트 특성화 기반구축사업 중 수리조선 분야 지원사업인 ‘스마트 수리조선산업 지원기반 구축사업’에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이에 따라 국비 52억8000만원을 확보해 내년부터 2023년까지 3년간 시비 24억8000만원을 포함해 총 사업비 77억6000만 원으로 지역 내 수리조선산업 스마트화 사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스마트 특성화 사업이란 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핵심 자원과 역량을 활용해 지역산업이 고도화·다각화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이다.
수리조선산업은 선박의 개조·보수·정비 등을 수행하는 산업활동으로 선박의 외부수리·내부수리·개조(Retrofit)·검사 등을 중심으로 스마트화 지원을 통해 고도화·다각화 함으로써 해운·선박관리·선용품·조선기자재, 기계 및 철강, 전기·전자산업 등 여러 산업 분야와 연계해 직·간접적인 부가가치를 창출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그동안 우수한 기술력과 유리한 사업여건을 보유하고도 중국·싱가포르 등 해외시장과의 경쟁에서 침체현상을 빚고 있는 부산지역 수리조선산업의 고도화와 다각화를 위해 선박수리산업의 기획·마케팅-설계-작업계획-수리작업-검사·인증-운영관리(데이터화) 등 전 과정을 지원한다.
이 사업은 부산테크노파크 주관으로 중소조선연구원과 한국선박수리협동조합이 참여해 지역 한국플랜트엔지니어링협동조합·한국선급·부산항만공사·대학(한국해양대·부경대) 등 관련 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 추진한다.
아울러 내년부터 3년간 ▲수리조선 공동 장비활용을 위한 협업 플랫폼 구축 ▲친환경 블라스팅 및 역설계 등 첨단장비 확충, 검사·인증 등 기술지원 ▲청년 유입을 위한 수리조선 전문교육 프로그램 운영 ▲신규 해외시장 개척 마케팅 지원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향후 매출액이 490억 원 증가하고, 직·간접 고용창출은 248명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최근 신조시장 침체와 국제해사기구(IMO) 환경규제 등으로 수리조선시장 확대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디지털 정보시스템 부재, 인력 고령화, 설계 역량 부족 등을 극복하기 위한 수리조선산업 고도화 지원이 필요한 시점에 선정돼 사업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최근 영도지역의 경제기반형 뉴딜사업과 맞물려 시너지효과를 기대하고 있다”면서 “이번 사업을 통해 국내 수리조선산업의 80%가 집중되어있는 부산지역이 4차산업혁명 시대에 수리조선업의 스마트화를 선도하는 중심지로 다시한번 도약할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원문기사 바로보기-> |